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봄철 농번기 농기계 사고에 주의! 사고없는 안전한 농번기를 위한 안전 예방수칙

by 투잡삼잡사잡 2025. 3. 17.
반응형

 

 

 

 

봄철 농번기가 다가오면서 농기계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농기계 사고는 농업인의 생명과 직결되며, 특히 고령 농업인에게 큰 위협이 됩니다. 따라서 농기계 사용 시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1. 농기계 사고 현황

  • 최근 3년간(2021~2023년) 농기계 사고 총 3,439건 발생
  • 3월 평균 91건의 사고 발생 → 5명 사망, 55명 부상
  • 농기계 사고의 60%가 60대 이상 고령자에서 발생
  • 남성이 전체 사고의 85.3% 차지
  • 농기계별 사고 비율:
    • 🚜 경운기(49.7%)
    • 🔪 예취기(17.2%)
    • 🚜 트랙터(11.3%)

📌 2. 농기계 사고의 주요 원인

✅ 끼임 사고 (37.9%)

  • 농기계의 회전체에 옷이나 신체 일부가 말려 들어가는 사고

✅ 전복 또는 전도 (24.9%)

  • 경사지 작업 중 농기계의 무게 중심이 기울어지면서 발생

✅ 교통사고 (13.0%)

  • 농기계가 도로를 주행할 때 차량과 충돌

 


 

📌 3. 농기계 안전 예방수칙

✅ 작업 전 점검 및 안전장비 착용

  • 농기계 사용 전 회전체 커버, 전선 절연, 배전반 덮개 점검
  • 👷‍♂️ 필수 안전장비 착용: 안전모, 장갑, 안전화, 방진 마스크

✅ 회전체 작업 시 주의

  • 소매나 옷자락이 농기계에 끼이지 않도록 주의

✅ 도로 이동 시 안전수칙 준수

  • 🚜 농기계로 좁은 농로나 경사로 진입 시 속도 줄이기
  • 🚦 신호 없는 교차로에서는 일시 정지 후 주행
  • 🚨 농기계 뒷면에 야광 반사판 부착하여 야간 사고 예방

✅ 음주 운전 금지

  • 🚫 농기계도 자동차와 동일하게 음주운전 금지
  • 🔴 위반 시 법적 처벌 받을 수 있음

✅ 적절한 작업복 착용

  • 👕 소매나 바지가 길게 늘어지지 않는 작업복 착용
  • 👟 미끄럼 방지 안전화 착용

 


 

🔎 결론

농기계 안전사고는 예방이 가능합니다. 농업인 스스로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정기적인 점검과 안전장비 착용을 생활화하면 사고 없는 농번기를 보낼 수 있습니다.

 

특히, 고령 농업인일수록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작업에 임해야 합니다.

💡 모든 농업인이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