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봄철 농번기가 다가오면서 농기계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농기계 사고는 농업인의 생명과 직결되며, 특히 고령 농업인에게 큰 위협이 됩니다. 따라서 농기계 사용 시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1. 농기계 사고 현황
- 최근 3년간(2021~2023년) 농기계 사고 총 3,439건 발생
- 3월 평균 91건의 사고 발생 → 5명 사망, 55명 부상
- 농기계 사고의 60%가 60대 이상 고령자에서 발생
- 남성이 전체 사고의 85.3% 차지
- 농기계별 사고 비율:
- 🚜 경운기(49.7%)
- 🔪 예취기(17.2%)
- 🚜 트랙터(11.3%)
📌 2. 농기계 사고의 주요 원인
✅ 끼임 사고 (37.9%)
- 농기계의 회전체에 옷이나 신체 일부가 말려 들어가는 사고
✅ 전복 또는 전도 (24.9%)
- 경사지 작업 중 농기계의 무게 중심이 기울어지면서 발생
✅ 교통사고 (13.0%)
- 농기계가 도로를 주행할 때 차량과 충돌
📌 3. 농기계 안전 예방수칙
✅ 작업 전 점검 및 안전장비 착용
- 농기계 사용 전 회전체 커버, 전선 절연, 배전반 덮개 점검
- 👷♂️ 필수 안전장비 착용: 안전모, 장갑, 안전화, 방진 마스크
✅ 회전체 작업 시 주의
- 소매나 옷자락이 농기계에 끼이지 않도록 주의
✅ 도로 이동 시 안전수칙 준수
- 🚜 농기계로 좁은 농로나 경사로 진입 시 속도 줄이기
- 🚦 신호 없는 교차로에서는 일시 정지 후 주행
- 🚨 농기계 뒷면에 야광 반사판 부착하여 야간 사고 예방
✅ 음주 운전 금지
- 🚫 농기계도 자동차와 동일하게 음주운전 금지
- 🔴 위반 시 법적 처벌 받을 수 있음
✅ 적절한 작업복 착용
- 👕 소매나 바지가 길게 늘어지지 않는 작업복 착용
- 👟 미끄럼 방지 안전화 착용
🔎 결론
농기계 안전사고는 예방이 가능합니다. 농업인 스스로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정기적인 점검과 안전장비 착용을 생활화하면 사고 없는 농번기를 보낼 수 있습니다.
특히, 고령 농업인일수록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작업에 임해야 합니다.
💡 모든 농업인이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합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