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결혼을 준비하는 과정은 설레지만 경제적인 부담이 큰 시기이기도 합니다. 다행히 정부에서는 예비부부와 신혼부부를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주거, 금융, 육아, 결혼식까지 폭넓은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똑똑하게 활용하면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예비부부들을 위한 주요 정부 지원 정책을 분야별로 정리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주거 지원 정책
1.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 대출한도: 수도권 최대 2억 원, 지방 최대 1억 6천만 원
- 금리: 연 1.2~2.1%
- 대상: 혼인신고 후 7년 이내 또는 예비부부
- 신청: 은행 방문 또는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
2. 신혼희망타운 특별공급
- 공급 비율: 혼인 2년 이내 및 예비부부에게 30% 우선공급
- 신청: LH·SH 홈페이지에서 청약 신청
💰 금융 및 세제 지원
1. 청년내일채움공제
- 2년형: 최대 1,200만 원
- 3년형: 최대 3,000만 원
- 대상: 중소·중견기업 재직 만 34세 이하 청년
- 신청: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2. 세제 혜택
- 취득세 감면: 1세대 1주택 기준 최대 200만 원
- 재산세 감면: 5년간 50%
- 청약저축 소득공제: 연 300만 원 한도(40%)
- 주택자금 대출이자 소득공제: 연 최대 300만 원
👶 출산 및 육아 지원
1. 첫만남이용권
- 지원금: 출생아 1명당 200만 원 바우처
- 사용처: 육아용품, 의료비 등 다양한 분야
- 신청: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
2. 부모급여·아동수당
- 부모급여: 0~1세 자녀 양육 시 매월 지급
- 아동수당: 만 8세 미만 자녀에게 매월 지급
🌿 특별한 결혼식도 지원받자
국립공원 숲 결혼식
- 운영기간: 3월 ~ 11월
- 비용: 무료
- 지원: 야외 예식 공간, 셔틀버스, 연출 등
- 신청: 국립공원공단 공식 사이트
✅ 마무리
예비부부를 위한 정책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결혼 전부터 활용 가능한 제도도 많습니다. 각 정책은 소득 조건, 혼인 여부, 나이 등의 요건이 다르므로 자신의 상황에 맞는 조건을 잘 확인하고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부24(www.gov.kr) 또는 복지로(www.bokjiro.go.kr) 사이트를 통해 더 자세한 정보와 신청 절차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